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 시기 문헌의 중국 근대음 반영 상황 재고 - 疑母를 예로Reconsidering the reflexes of early Mandarin in mid-16th century Korean texts: The case of the initial Yi (疑)

Other Titles
Reconsidering the reflexes of early Mandarin in mid-16th century Korean texts: The case of the initial Yi (疑)
Authors
노혜정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Keywords
the initial Yi(疑); velar nasal; ᅌ< ŋ> ᄋ< Ø> early Mandarin; Korean transcriptions; Saseongtonghae (四聲通解); Beonyeok Nogeoldae (飜譯老乞大); Beonyeok Baktongsa (飜譯朴通事); 疑母; 중국 근대음; 中原音韻; 洪武正韻譯訓; 四聲通解; 飜譯老乞大; 飜譯朴通事; 正音; 俗音; 今俗音; 左側音; 右側音
Citation
한중언어문화연구, no.62, pp.3 - 2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중언어문화연구
Number
62
Start Page
3
End Page
29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4780
DOI
10.16874/jslckc.2021..62.001
ISSN
1738-0502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근대음 시기에 발생한 疑母의 변화를 예로 조선 시기 문헌에 반영된 중국 근대음의 반영 상황에 대해 고찰한다. 조선 시기 문헌에서 표음 문자인 한글 자모로 표기된 중국 근대음은 중국어 음운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疑母를 예로, 洪武正韻譯訓 (1455)의 正音, 俗音, 飜譯老乞大 (1517)와 飜譯朴通事 (1515(?))의 左側音, 右側音, 四聲通解 (1517)의 正音, 俗音, 今俗音 등에 나타난 疑母 개별 글자들의 상황과 각 문헌에 나타나는 여러 注音 체계의 성질을 살펴보고, 중국 근대음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 시기 문헌에 기록된 중국 근대음 자료로서의 가치에 대해 재고찰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