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HALE) 지표를 활용한 연구 동향 분석Analysis of research trends using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 (HALE) indicators
- Other Titles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using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 (HALE) indicators
- Authors
- 양정연; 이준협; 정현우; 박희정
- Issue Date
- 2021
- Keywords
- 기대수명; 건강수명; HALE; 동향 분석; Life Expectancy; Health expectancy; HALE; Trend Analysis
- Citation
- 대한보건연구, v.47, no.3, pp.83 - 9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대한보건연구
- Volume
- 47
- Number
- 3
- Start Page
- 83
- End Page
- 98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4801
- DOI
- 10.22900/kphr.2021.47.3.008
- ISSN
- 1738-3897
- Abstract
- 연구목적: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대수명 뿐만 아니라 건강수명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중요하다. 건강수명 지표 중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HALE)은 보건의료정책 결정에 주요 근거로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크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이루어진 국내외 HALE 지표를 활용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외 검색엔진 PubMed, Web of Science, Embase, RISS와 DBPIA에서 “건강(기대)수명”, “건강(기대)여명”,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 “HALE” 등의 핵심용어를 활용하여 2011년부터 2020년 1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은 국제 비교 연구와 단일 국가 연구로 분류하였고, 단일 국가 연구는 사회·경제적 및 건강 측면으로 분류하여 주요 결과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총 1,680편의 문헌 중 최종적으로 선정된 16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7편의 국제 비교 연구 중 5편은 국제 질병 부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표된 연구로 국제 건강수명 측정 연구의 주축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단일 국가 연구 9편 중 2편은 지역별 HALE 격차를 살펴본 연구였고 나머지 7편은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우울증, 심혈관 질환, 암, 치아 소실 등) 및 건강행태(흡연 및 비만)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연구들로 HALE 지표 산출 범위가 넓어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HALE은 국제적으로 활용되는 건강수명 지표라는 점에서 국제 표준에 맞게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을 비롯한 여러 보건의료정책의 근거와 성과 지표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건강 및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HALE 측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Health Sciences > Division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