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현대시의 리듬 이론 연구:역사와 현황 (1) ― ‘리듬’의 출현에서 ‘신시논쟁’까지Rhythm Theory in Korean Morden Poetry : History and Current Status (1)

Other Titles
Rhythm Theory in Korean Morden Poetry : History and Current Status (1)
Authors
조재룡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근대문학회
Keywords
rhythm; jeolju(節奏); debate of free verse; Kim Ok; metric; metric pattern; rhyme; meter; 리듬; 절주(節奏); 신시-자유시 논쟁; 김억; 율격; 운; 율
Citation
한국근대문학연구, v.23, no.2, pp.143 - 17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근대문학연구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143
End Page
17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6663
ISSN
1229-8131
Abstract
‘리듬’은 1919년 12월 삼광 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영어 ‘Rhythm’을 병기하고 번역어로 ‘절주(節奏)’나 ‘절도(節度)’를 제시하면서 시의 리듬을 그 예로 들어 ‘시가(詩歌) 문장의 구절이나 단락’으로 개념을 정의한다. 일 년 후 ‘리듬’은 현철에 의해 언급되었으며, 자유시나 산문시에서 정형시의 율격에 해당되는 무엇을 ‘대치’할 등가의 개념처럼 인식되었다. 리듬은 1920~1921년 사이 자유시의 출현을 계기로 촉발된 ‘신시논쟁’의 중심으로 차지하였으며, ‘율격’을 갖추지 않은 ‘자유시형’을 논하면서 새로운 개념으로 불거져 나왔다. 자유시형과 산문시형의 등장은 리듬의 인식론적 전환을 이끌어낸 동시에 리듬 개념 정의의 혼란도 가중시켰다. ‘자유시’의 모델로 한국에 소개되고 번역된 프랑스 상징주의 작품들은 사실상 모두 정형시였다. 김억이 번역한 시들이 정형시였음에도, 번역을 통해 ‘운율적이 아니라 리듬적인 성질’에 기반하게 되었다. 주요한에게 자유시는 ‘율’과 ‘운’을 폐기하고, 음수율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의 모형이며, 자유시는 ‘율과 운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리듬’에 의해 지배된다. 황석우는 ‘영률(靈律)이나 ’심률(心律)’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리듬을 심리적으로 내재된 영감의 표출로 정의하였다. 1920년대에 접어들어 리듬은 첫째 ‘율격이 부재하는 자유시에서 율격의 부재를 ‘대처’할 무엇’, 둘째 정형시에서 ‘율’과 ‘운’을 덜어낸 무엇, 셋째 ‘시의 자유로운 [무엇]’처럼, 공란으로, 즉, 실체가 없는 실체에 의해 규명되어갔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Jae Ryong photo

CHO, Jae Ryong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