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약 R&D 민·관 협력사업 효율성 분석 연구: 국내·외 연구사업에 대해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을 활용하여A Study on R&D Efficiency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o R&D Program

Other Titles
A Study on R&D Efficiency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o R&D Program
Authors
송정민윤지환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기술혁신학회
Keywords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Public-Private Partnership; R& D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신약개발; 민·관 협력; R& D 효율성; 자료포락분석
Citation
기술혁신학회지, v.25, no.5, pp.897 - 924
Indexed
KCI
Journal Title
기술혁신학회지
Volume
25
Number
5
Start Page
897
End Page
92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6732
ISSN
1598-2912
Abstract
신약 R&D에서 민·관 협력사업의 효율적 운영과 R&D 혁신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해 효율성 분석 필요성이 증가하 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모형을 활용하여 유럽의 혁신 의 약 이니셔티브(Innovative Medicines Initiative, IMI), 미국의 국가고등중개연구센터(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NCATS), 한국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신약 R&D 민·관 협 력사업 효율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결과,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은 혁신 의약 이니셔티브(IMI)와 국가고등중개연구센터(NCATS) 대비 효율성이 낮고, 효율성 구간별로 총연구개발비 투자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 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연구과제의 비효율성 원인이 기술적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총연구개발비 중 정부투 자비중이 주요 효율성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약개발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 율적인 R&D 투자를 추진하고 참여 주체 간 연계를 강화하여 비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