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교사관계,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다문화가족정책 지원 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분석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olicy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Other Tit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olicy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s
김은경조대연정윤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Keywords
다문화 청소년; 다문화가족정책;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교사관계; 삶의 만족도; multicultural adolescents; policy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social withdraw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itation
교육문화연구, v.28, no.4, pp.303 - 327
Indexed
KCI
Journal Title
교육문화연구
Volume
28
Number
4
Start Page
303
End Page
32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6924
DOI
10.24159/joec.2022.28.4.303
ISSN
1598-9283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교사관계,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관계 구조가 다문화가족정책 지원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 MAPS)의 9차년도(2019년) 총 1,12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정적 관계를 사회적 위축과 교사관계가매개하고 있었으며, 교사관계가 사회적 위축에 비해 더 큰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다문화가족정책 지원 경험이없는 집단이 경험이 있는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 사이의 경로계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매개효과는 다문화가족정책 지원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