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 명사어절의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좌우반구의 언어처리과정 탐구: 좌우시야 분할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엽-
dc.contributor.author구민모-
dc.contributor.author김제홍-
dc.contributor.author남기춘-
dc.date.accessioned2021-08-31T16:22:27Z-
dc.date.available2021-08-31T16:22:27Z-
dc.date.created2021-06-18-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sn1226-9654-
dc.identifier.uri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129-
dc.description.abstract좌우반구의 언어정보처리 특성은 매우 상이하나 좌우반구에서 어떤 종류의 언어정보가 다르게 재인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한국어 어절은 형태소, 단어, 문장성분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복잡한 언어단위로 좌우반구에서 여러 종류의 언어정보를 다른 방법으로 정보처리 할 가능성을 조사하기에 적절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절판단과제(Eojeol decision task)를 좌우시야분할 연구방법(visual half-field study)으로 제시하여 명사어절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좌우반구의 어절정보처리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절이 중앙시야에 제시되는 실험과 우시야 혹은 좌시야에 제시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 후에 어절판단시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어절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어절이 중앙시야에 제시될 때에 비해 우시야 혹은 좌시야에 제시될 경우 추가적으로 유의미한 어절변인들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우시야 조건에서는 ‘어근 빈도’ 변인이 추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좌시야 조건에서는 ‘획 수’, ‘음절 수’, ‘자모 수’, ‘사전적 의미 수’, 그리고 ‘주관적 의미 수’ 변인들이 추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각 시야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유의미한 어절변인들이 나타난 이유는 자극정보처리를 한쪽 반구가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유도할 경우 다른 쪽 반구 기능이 미숙하게 나타나 이를 보상하기 위한 인지처리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이 인지처리반응은 해당 반구에서 정보처리 할 수 있는 반구-특성적(hemisphere-specific) 기능과 관련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명사어절이 중앙시야에 제시된 경우와 우시야 혹은 좌시야에 제시된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반응을 통해서 명사어절 정보처리 과정에 관여할 수 있는 좌우반구의 정보처리에 대해 탐구하였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dc.title한국어 명사어절의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좌우반구의 언어처리과정 탐구: 좌우시야 분할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Research for Language Information Processing of Bilateral Hemispheres on Korean Noun Eojeol: Visual Half-field Study-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남기춘-
dc.identifier.doi10.22172/cogbio.2020.32.1.00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32, no.1, pp.29 - 53-
dc.relation.isPartOf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dc.citation.title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dc.citation.volume32-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9-
dc.citation.endPage53-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55540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좌우시야 분할연구-
dc.subject.keywordAuthor좌우반구-
dc.subject.keywordAuthor어절-
dc.subject.keywordAuthor어절변인-
dc.subject.keywordAuthorvisual half-field study-
dc.subject.keywordAuthorbilateral hemispheres-
dc.subject.keywordAuthorEojeol-
dc.subject.keywordAuthorlexical variabl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Ki chun photo

Nam, Ki chun
심리학부 (심리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