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주관적 행복과 객관적 삶의 질 차이의 지역분포 분석: 지역역량(regional capability)의 관점에서Distribution of Regional Disparity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From a Perspective of Regional Capability

Other Titles
Distribution of Regional Disparity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From a Perspective of Regional Capability
Authors
구교준이희철김지원박차늠
Issue Date
2020
Publisher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Keywords
regional capability; happiness; public investment; 지역역량; 행복; 공공투자
Citation
정부학연구, v.26, no.1, pp.162 - 182
Indexed
KCI
Journal Title
정부학연구
Volume
26
Number
1
Start Page
162
End Page
18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147
DOI
10.19067/jgs.2020.26.1.162
ISSN
1229-424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 간의 격차에 주목하여 지역의 객관적 환경이 주민의 만족으로 치환되는 과정을 지역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지역역량에 따라 물리적 환경이 주민들의 만족으로 귀결되는 과정이 달라지게 되므로 지역역량은 지역의 정책 과정에 매우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지역역량의 추정을 위해 7개 분야의 객관 지표를 선정하고 표준화하여, 해당 데이터와 주관적 행복을 각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지역역량은 지역 주민의 실제 만족도가 물리적 환경을 고려했을 때의 기대 만족도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모델의 잔차를 통해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객관적 여건이 더 좋다고 평가되는 영남권의 지역역량이 호남권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도권에서는 객관적 여건이 더 좋은 강남권의 지역역량이 강북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의 주관적 만족으로 연결되지 않는 투자는 결국 비효율적일 뿐이며, 물리적 투자를 주관적 만족으로 전환하는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야 최적의 공공투자 포트폴리오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물리적 환경이 주민만족으로 치환되는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과 저해요인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tical Science & Economics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o, Kyo jun photo

Koo, Kyo jun
정경대학 (행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