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Classification of Social Withdrawal Changes of Multicultural Youth and Identification of Influential Factors using Growth Mixture Model

Other Titles
Classification of Social Withdrawal Changes of Multicultural Youth and Identification of Influential Factors using Growth Mixture Model
Authors
장유나오현정안소영홍세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안암교육학회
Keywords
Multicultural Youth; Social Withdrawal; Growth Mixture Model; Latent Class Analysis; 다문화 청소년; 사회적 위축; 성장혼합모형; 잠재계층분석
Citation
한국교육학연구, v.26, no.4, pp.143 - 16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학연구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143
End Page
169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157
DOI
10.29318/KER.26.4.6
ISSN
1598-9054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유형화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차년도(초5)부터 6차년도 (중3)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위축 변화에 적합한 변화함수를 추정하여 이를 적용한 잠재계층 을 분류하고,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의 종단적 변화에는 2차 함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적용한 잠재계층은 ‘저수준 상승 집단’, ‘위축 급변 집단’, ‘고수준 하향 집단’, ‘중상 보편 집단’, ‘중하보편 집단’의 5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의 검증에서는 사회적 위축과 관련 있는 성별, 한국어 능력,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거주 지역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집단 대비에 따라 달랐지만, 대체로 성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축 급변 집단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요인을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부정적인 결과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70%가 넘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평균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결론을 제기했다는 의의가 있다. 다만, 4.7%의 위축 급변 집단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Se hee photo

Hong, Se hee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