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트(Postdramatik)의 무대화 특징-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iede Jelinek) 작 《겨울 나그네》번역 공연을 중심으로The Characteristics of Postdramatic Performance Taken from Postdramatic Text - Focused on the Korean Adaptation in Performance of <Winterreise> by Elfriede Jelinek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Postdramatic Performance Taken from Postdramatic Text - Focused on the Korean Adaptation in Performance of <Winterreise> by Elfriede Jelinek
Authors
김정섭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연극교육학회
Keywords
포스트드라마 연극; 엘프리데 옐리네크; 《겨울 나그네》; 포스트드라마틱; 포스트드라마틱 공연; Postdramatic; Elfriede Jelinek; 《Winter Jouney》; Postdramatic playtext; Postdramatic performance
Citation
연극교육연구, v.36, no.36, pp.89 - 113
Indexed
KCI
Journal Title
연극교육연구
Volume
36
Number
36
Start Page
89
End Page
11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567
ISSN
1738-155X
Abstract
본 논문은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트, 즉 포스트드라마틱(Postdramatic)과 포스트드라마 연극(Postdramatic theatre) 공연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중요한 연구 목표로 삼았다. 연구 논제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포스트드라마틱 극작가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iede Jelinek)의 《겨울 나그네Winter Journey》와 그것의 공연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옐리네크의 연극텍스트의 중요한 특징은 비재현성이다. 상호텍스트적으로 생산된 텍스트는 콜라주 마냥 분절적이고 파편적인 선행텍스트로 구성된다. 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물과 이야기가 불분명한 채 어떤 화자가 독백하든 텍스트는 길게 이어지면서 비재현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옐리네크 포스트드라마틱의 상호텍스트성이 재현할 인물과 대상을 불분명하게 만들어 비재현성을 야기한다. 연출가는 이러한 텍스트를 자신의 공연을 위한 재료로 사용하면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완성해 가는 것이다. 포스트드라마틱의 특성이 어떻게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토론하기 위해 국내 번안 공연을 사례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첫 번째 무대화 특징은 비재현성의 재현성이다.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을 달리’ 하는 옐리네크의 연극공연에서는 연극텍스트가 발화된 비재현적 언어의 현존(소리성)과 인용된 어떤 인물 행동의 재현 또는 모방(mimesis)이 충돌한다. 이러한 옐리네크 포스트드라마틱 무대화는 바로 텍스트의 비재현적인 것이 관객 각자에게 자신만의 고유한 연상작용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자신의 머릿속에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고, 즉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특성은 옐리네크 포스트드라마틱에 내재한 다성성이 등장인물들의 대화나 장면을 모놀로그-코러스적인 혼합방식으로 특징 지운다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에서 기인한 텍스트의 다성성이 무대화의 가능성을 다변화시키면서 장면연출을 더욱 다채롭게 열어 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는 포스트드라마틱의 기본적인 성향을 고찰하고 그것이 연극 공연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엿볼 수 있었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국외 포스트드라마틱 국내 번안 공연을 사례분석으로 삼은 본 연구는 해외 포스트드라마틱 수용과 관련하여 국내 포스트드라마적인 연극현장의 실천적인 가능성을 높이고 연극학계의 이론적인 지평을 확장하는 데 작게나마 이바지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겠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ulture and Sports > Division of Culture Creativit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