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 소재 <구운몽>에 대하여About <Ku-un-mong> in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Other Titles
About <Ku-un-mong> in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Authors
엄태웅
Issue Date
2020
Publisher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Keywords
< 구운몽> 이본; 율문체; 가사; 판소리;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 Ku-un-mong> different version; rhythm; Gasa(歌辭); Pansori;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 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Citation
고전과 해석, v.32, pp.439 - 522
Indexed
KCI
Journal Title
고전과 해석
Volume
32
Start Page
439
End Page
52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589
DOI
10.33253/gohan.2020.32.177
ISSN
1975-8499
Abstract
이 글은 율문체가 빈번히 나타나는 <구운몽> 이본의 개괄적 특징과 더불어 작품의 원문(입력본)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자료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이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사실 신자료라는 명칭과 어울리지 않는다. 그 문헌은 바로 고전소설 연구자들에게 매우 낯익은 전집인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이기 때문이다. 익숙한 문헌에 수록되어 있었으면서도, 이 이본은 선본 계열이 아니기 때문에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이본은 신자료로 소개받을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문체적․내용적 독특함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구운몽> 이본은 여러 갈래로 다채롭게 전승되면서 여러 색다른 이본을 만들어냈다. 이 이본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산출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형태의 율문체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율문체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장르 및 문화에서 온 것인지는 추후 상세한 고증을 통해 밝혀야 할 것이다. 다만 필사기를 통해 볼 때, 이 이본이 판소리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