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 소재 <구운몽>에 대하여About <Ku-un-mong> in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 Other Titles
- About <Ku-un-mong> in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 Authors
- 엄태웅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Keywords
- < 구운몽> 이본; 율문체; 가사; 판소리;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 Ku-un-mong> different version; rhythm; Gasa(歌辭); Pansori;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 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 Citation
- 고전과 해석, v.32, pp.439 - 52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고전과 해석
- Volume
- 32
- Start Page
- 439
- End Page
- 522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589
- DOI
- 10.33253/gohan.2020.32.177
- ISSN
- 1975-8499
- Abstract
- 이 글은 율문체가 빈번히 나타나는 <구운몽> 이본의 개괄적 특징과 더불어 작품의 원문(입력본)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자료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이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사실 신자료라는 명칭과 어울리지 않는다. 그 문헌은 바로 고전소설 연구자들에게 매우 낯익은 전집인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이기 때문이다. 익숙한 문헌에 수록되어 있었으면서도, 이 이본은 선본 계열이 아니기 때문에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이본은 신자료로 소개받을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문체적․내용적 독특함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구운몽> 이본은 여러 갈래로 다채롭게 전승되면서 여러 색다른 이본을 만들어냈다. 이 이본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산출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형태의 율문체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율문체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장르 및 문화에서 온 것인지는 추후 상세한 고증을 통해 밝혀야 할 것이다. 다만 필사기를 통해 볼 때, 이 이본이 판소리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