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滄溪 林泳 자료의 문헌적 검토와 산문 창작의 일면A Philological Research of Im Yeong(林泳)’s Manuscripts and His Prose

Other Titles
A Philological Research of Im Yeong(林泳)’s Manuscripts and His Prose
Authors
정우봉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고전번역원
Keywords
Im Yeong; Changgye; philological research; prose; diary; Kim Chang-hyup; Lee Hee-jo; Park Se-chae; Nam Hak-myung; Choi Seok-jeong; 임영; 창계; 산문; 문헌; 일기; 김창협; 이희조; 박세채; 남학명; 최석정
Citation
민족문화, v.56, pp.43 - 88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화
Volume
56
Start Page
43
End Page
8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59613
DOI
10.15752/itkc.56..202012.43
ISSN
1738-4648
Abstract
滄溪 林泳(1649-1696)은 그동안 사상가의 관점에서 연구 성과가 다수 제출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산문가로서의 창계의 면모를 새롭게 밝히고자 하였다. 산문 작품의 분석에 앞서 滄溪家 기탁 필사 문헌의 현황 및 문집 편찬의 과정을 분석하는 문헌학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성균관대 존경각에 소장되어 있는 滄溪家 필사 문헌들은 창계가 남긴 자료의 전모를 밝히는 데에 있어 매우 귀중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창계의 학문과 사상, 문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 위해서 이들 필사 문헌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 작업 및 공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창계의 산문 세계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는 그의 문집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간문을 국가 정세에 대한 관심과 가족에 대한 애도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다루었다. 아내와 어머니의 죽음을 애도하는 작품 지향과 관련해 창계가 아내를 위해 지은 行狀을 함께 살폈다. 그리고 일기 자료를 중심으로 자아 성찰 및 格言 창작을 다루었으며, 산수유기와 상량문을 중심으로 광대한 정신 경계와 은거 지향을 살펴보았다. 창계 산문 중에서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들은 추후 보완해 나가도록 할 것이다. 師友들과 주고 받은 많은 서간문, 疏箚類 산문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Woo Bong photo

CHUNG, Woo Bong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