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입절도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시형생활주택의 범죄취약요소 분석Analysis of Vulnerable Spots of Urban Small Scale Multi-family Housing against Residential Burglary through the Analysis of Crime Investigation Records
- Other Titles
- Analysis of Vulnerable Spots of Urban Small Scale Multi-family Housing against Residential Burglary through the Analysis of Crime Investigation Records
- Authors
- 홍성진; 이경훈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셉테드학회
- Keywords
- Urban Small Scale Multi-family Housing; 1 ~ 2 people households; burglary; Crime Investigation Records;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Burglar′ Target Decision(Selection); Criminal Behavior; Evidence-based design.; 도시형 생활주택; 1~2인 가구; 침입절도범; 침입절도 범죄데이터;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절도범의 범행대상의 결정; 범죄 행태; 근거기반디자인
- Citation
- 한국셉테드학회지, v.11, no.1, pp.61 - 1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셉테드학회지
- Volume
- 11
- Number
- 1
- Start Page
- 61
- End Page
- 110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60349
- ISSN
- 2093-3428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침입절도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범죄취약요소 분석이다. 최근 도시형 생활주택의 1~2인 소규모 가구 증가와 함께 주택 관련 침입범죄도 증가 추세이다. 아파트에 비해 다세대·다가구·원룸 등 도시형 생활주택은 범죄 발생에 취약한 환경이고 범죄불안감도 높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축적 특징과 침입절도범의 행태 특성 등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절도범의 범행결정에 미치는 환경속성(Criteria)과 환경단서(Cue)를 정의하였다. 실제 침입절도 범죄데이터를 기반으로 20개 항목별로 범죄취약요소를 분석하였으며 환경속성(Criteria)과 환경단서(Cue)의 관련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환경적 요소를 기반으로 도시형 생활주택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요소를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