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The role of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n the processing and learning of adjacent and nonadjacent syntactic dependencies i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ther Titles
The role of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n the processing and learning of adjacent and nonadjacent syntactic dependencies i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uthors
이은하
Issue Date
2020
Publisher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Keywords
통계적 학습 능력; 암시적 학습; 이해 기반 구조적 점화; 인접 통사구조; 비인접 통사구조;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mplicit learning; structural priming in comprehension; adjacent syntactic dependencies; nonadjacent syntactic dependencies
Citation
한국언어문화학, v.17, no.1, pp.233 - 28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언어문화학
Volume
17
Number
1
Start Page
233
End Page
28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60704
ISSN
1738-279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해 기반 구조적 점화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성인 한국어 학습자가 인접 통사구조인 수여구문과 비인접 통사구조인 관형절 문장에 노출된 뒤 후속문장에 대한 처리에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통계적 학습 능력이 L2 통사구조의 암시적 학습과 처리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했다. 아울러 인접구조와 비인접구조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통계적 학습 능력이 인접 L2 통사구조와 비인접 L2 통사구조의 처리․학습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또한 고찰했다. 한국어 학습자 39명을 대상으로 이해 기반 구조적 점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어휘 의존적 점화와 어휘 독립적 점화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접구조에 대한 통계적 학습 능력은 인접 L2 통사구조 표적문장 이해 정확도를 예측해주었으며, 비인접구조에 대한 통계적 학습 능력은 인접․비인접 L2 통사구조 표적문장에 대한 처리 효율성과 이해 정확도를 예측해주었다. 이는 성인 L2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구조에 대한 통계적 학습 능력이 각각 그에 상응하는 인접․비인접 L2 통사구조의 처리 효율성을 촉진하는 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