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평화외교와 안보공공외교로서의 국제평화유지활동(PKO)에 관한 고찰International PKO as ‘Security Public Diplomacy’

Other Titles
International PKO as ‘Security Public Diplomacy’
Authors
이신화
Issue Date
2019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Keywords
안보공공외교; 유엔 PKO; 다국적군평화활동; 포괄안보시대; 인도적 국제주의; Security Public Diplomacy; UN PKO; Multinational Peacekeeping; Era of Comprehensive Security; Humanitarian Internationalism
Citation
Oughtopia (오토피아), v.34, no.1, pp.7 - 42
Indexed
KCI
Journal Title
Oughtopia (오토피아)
Volume
34
Number
1
Start Page
7
End Page
4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057
DOI
10.32355/OUGHTOPIA.2019.05.34.1.7
ISSN
1229-2680
Abstract
PKO(Peacekeeping Operation)는 많은 국가에서 주요 외교정책으로 부상한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군의 활동이 자국 안보수호를 넘어 해외파병을 통해 세계평화증진에 공동의 책임을갖고 기여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추이인데, PKO 기여를 통해 대상국 국민의 마음을 사고상호 소통하는 과정으로서의 ‘안보공공외교’에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서 안보공공외교란 국가 간 군사적 유대와 안보협력을 통한 자국의 외교안보역량 제고 및 글로벌평화구축 달성을 위해 타국의 대중 및 외교안보정책을 수행하는 개인과 집단의 신뢰와 공감대를 확보하는 외교활동을 일컫는다. 그러나 군 중심으로 이루어져야할 PKO에 있어 민간인 역할이나 현지인들을 상대로 한 소프트파워 제고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효과적인임무수행이 어렵다. 따라서 글로벌 공익과 자국의 이익을 조화롭게 고려하여 ‘열린 국익’의관점에서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상황에 맞게 적절히 투사하는 PKO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의 PKO 활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명심할 것은 정치적이고 안보지향적인특정 국익만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파병은 결코 성공적일 수도 인정받을 수도 없는 국제평화활동이라는 점이다. 도움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힘든 상황의 국가와 국민들을 돕는 것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그들의 필요에 가장잘 부합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때 도덕성과 효과성 모두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장기적으로국익의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tical Science & Economics >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