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청년 니트(NEET)의 특성과 영향 요인: 학력 수준별 비교 분석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Impact Factors of NEET Youth in Korea: An analysis of population groups by level of education

Other Titles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Impact Factors of NEET Youth in Korea: An analysis of population groups by level of education
Authors
노현주김윤태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공공사회학회
Keywords
Youth; NEET; education level; human capital; status attainment; social network; statistical discrimination; self esteem; 청년; 니트(NEET); 학력 수준별 집단; 인적자본; 지위 획득; 사회 연결망; 통계적 차별; 자아 존중감
Citation
공공사회연구, v.9, no.4, pp.73 - 105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공공사회연구
Volume
9
Number
4
Start Page
73
End Page
10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104
DOI
10.21286/jps.2019.11.9.4.73
ISSN
2233-663X
Abstract
이 연구는 취업 의사가 없는 니트(NEET)에 주목하여, 학력 수준에 따른 니트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서 주요 특성과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학력 수준별 니트 집단의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졸 청년 중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아버지의 직종이 블루칼라에 속하며 임금근로자일 경우, 가구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함께 살고 있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고졸 니트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를 졸업한 청년 중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아버지의 직종이 블루칼라에 속할수록, 부모와 같이 살고 있을수록, 이전 취업 경험이 있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니트일 가능성이 높다. 셋째, 4년제 대학교 이상 졸업한 청년 중에서 여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부모와 같이 살고 있을수록 니트일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청년 니트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학력 수준별 니트 집단의 특성과 영향요인에 따라 맞춤식 정책 지원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고졸 이하 학력을 가진 집단에 대해서 지역 기반 지원기관의 자립 플랜과 노동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 직업 훈련 프로그램의 강화가 시급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ublic Policy > Public Sociology in Division of Public Sociology and Korean Unification/Diplomac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un Tae photo

Kim, Yun Tae
공공정책대학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 공공사회학전공)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