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구성원의 공감능력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통제위치와 상호호혜성의 3차항 조절효과Empathic Ability, Internal Locus of Control, Positive Reciprocity and Labor Productivity of Employees : A Three Way Interaction Model

Other Titles
Empathic Ability, Internal Locus of Control, Positive Reciprocity and Labor Productivity of Employees : A Three Way Interaction Model
Authors
정기백최석봉
Issue Date
2019
Publisher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Keywords
Empathic ability; Internal locus of control; Positive reciprocity; Productivity of employees; Three way interaction model; 공감능력; 개인 생산성; 내재적 통제위치; 긍정적 호혜성; 3차항 조절효과
Citation
경영경제연구, v.41, no.3, pp.117 - 144
Indexed
KCI
Journal Title
경영경제연구
Volume
41
Number
3
Start Page
117
End Page
14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624
DOI
10.22828/meri.2019.41.3.005
ISSN
1598-3129
Abstract
공감능력은 조직 내 구성원 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만들며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만듦으로써 조직에 더욱 몰입하게 만들며 높은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 구성원의 공감능력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공감능력이 성과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메커니즘을 설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성원의 공감능력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더불어 개인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조건으로 구성원의 태도 및 신념인 내재적 통제위치와 긍정적 호혜성을 고려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두 조절변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상의 조건을 탐색하였다. 한국 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한 결과, 첫째, 공감능력은 개인 생산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긍정적 호혜성은 공감능력과 개인 생산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통제위치는 공감능력과 개인 생산성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긍정적 호혜성과 동시에 분석하였을 경우, 3차항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내재적 통제위치와 긍정적 호혜성 수준이 모두 높은 경우, 공감능력과 개인 생산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연구의 한계 및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Global Business > Global Business in Division of Convergence Busines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