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기호학 연구The Spatial Semiotics of the East Asian Gardens

Other Titles
The Spatial Semiotics of the East Asian Gardens
Authors
김성도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기호학회
Keywords
정원; 동아시아 정원; 차경; 공간 통사론; 공간의미론; 공간 화용론; garden; East Asian garden; poetics; borrowed landscape; spatial semiotics; spatial syntax
Citation
기호학 연구, v.61, pp.7 - 36
Indexed
KCI
Journal Title
기호학 연구
Volume
61
Start Page
7
End Page
3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719
ISSN
1229-3172
Abstract
동아시아 정원은 탁월한 기호학적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기호학적 원근법을사용하여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적 의미를 보다 풍요롭게 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서구의 미학 체계에서 주변부에 머물렀던 정원의 예술적 위상과 달리, 동아시아 미학에서정원예술은 최고의 반열에 놓여 있다. 초반부에서 논자는 동아시아 정원의 자연관에기초하여 그것의 생태학적 미학적 시적 성격을 파악하고, 소우주와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본고는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통사론, 공간 의미론, 공간 화용론의 특징을 포착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공간 기호학의 관점에서, 특정 시공 속에규정된 순간, 인간 정신은 정원의 공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정원의 세부 사항에 대한 구성과 주관적 선별을 통해 일정한 관념을 생성한다. 그 결과 상상력과 해석 능력을 겸비한 기호학적 정신은 동아시아 정원 공간에 대해 풍요로운 의미 체계구축의 창조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논자는 무엇보다 차경의 원리를 동아시아 공간통사론의 중핵으로 파악하였으며 논자가 현장 답사한 정원들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또한 동아시아 정원 공간의 복잡한 상징성과 의미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강진 백운동별서 정원의 유상곡수와 일본 교토 용안사 정원의 돌의 숫자의 상징적 의미와 구성방식에 대해 간략하나마 기호학적 분석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공간 화용론의 시각에서는 정원 관람객의 운동에 따른 변화무쌍한 시점의 변화와 풍경의 펼침을 독특한 서사 행로의 구조로서 파악하였다. 본고는 한국 전통 정원의 본격적인 기호학적 탐구를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기호학 연구의 서설이라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Linguis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g Do photo

Kim, Sung Do
문과대학 (언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