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 체언어절과 용언어절 재인에 관련된 어휘 변인Lex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Korean Eojeol Recognition

Other Titles
Lex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Korean Eojeol Recognition
Authors
김제홍남기춘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Keywords
어절; 명사어절; 용언어절; 어절판단과제; 어휘변인; Korean; Eojeol; Recognition; Lexical Factors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30, no.4, pp.373 - 39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ume
30
Number
4
Start Page
373
End Page
39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8595
DOI
10.22172/cogbio.2018.30.4.004
ISSN
1226-9654
Abstract
형태소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가진 어절은 한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로서, 일반 단어와는 구별되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처리과정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장에서 각각 주어와 서술어를 담당하는 체언어절과 용언어절의 재인에 미치는 어휘 변인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한국어 체언어절, 실험 2에서는 용언어절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을 어절판단과제(Eojeol Decision Task, 이하 EDT)로 측정한 반응시간과의 회귀분석으로 도출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어절빈도”, ‘원형빈도’, 그리고 “첫음절빈도” 예측 변인이 체언어절의 재인 시간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 2의 결과 “어절빈도”와 “주관적 의미 수” 예측 변인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예측 변인 간의 상호작용은 실험 2의 용언 어절의 예측 변인 간에만 유의미하게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으로 나타난 어절빈도가 가지는 의미와 각 어절에 따라서 설명력이 유의미한 어휘 변인이 다르게 나타난 결과를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Ki chun photo

Nam, Ki chun
심리학부 (심리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