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수준 평가・조사의 ‘읽기’ 영역 결과에 대한 재고찰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주환 | - |
dc.contributor.author | 이순영 | - |
dc.date.accessioned | 2021-09-02T18:10:57Z | - |
dc.date.available | 2021-09-02T18:10:57Z | - |
dc.date.created | 2021-06-17 | - |
dc.date.issued | 2018 | - |
dc.identifier.issn | 2586-7229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9133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국가 수준 평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과 읽기 습관・태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찾은 쟁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PISA 2015와 NAEA 2015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하 수준의 학생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하 수준 남학생들의비율이 늘어나는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에 대한 PISA와 NAEA의 결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NAEA의 성취수준 구분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개선이필요하다. 셋째, 읽기(국어)에 대한 내재적 동기나 태도를 개선하는 데 관심을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국어 성취도 향상과 반비례해서 국어 수업 이해도, 내재적 동기, 효능감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독서 시간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장르소설이나 만화와 같은 흥미 위주의 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연구 결과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도나 읽기 습관・태도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읽기 조사 방법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읽기 성취 수준과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필요가 있다. | - |
dc.language | Korean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 |
dc.title | 국가 수준 평가・조사의 ‘읽기’ 영역 결과에 대한 재고찰 | - |
dc.title.alternative | A Review on the Results of ‘Reading’ in the National Assessments and Surveys | - |
dc.type | Article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순영 | - |
dc.identifier.doi | 10.37736/kjlr.2018.05.9.2.189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리터러시 연구, v.9, no.2, pp.189 - 223 | - |
dc.relation.isPartOf | 리터러시 연구 | - |
dc.citation.title | 리터러시 연구 | - |
dc.citation.volume | 9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189 | - |
dc.citation.endPage | 223 | - |
dc.type.rims | ART | - |
dc.identifier.kciid | ART002353139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PISA | - |
dc.subject.keywordAuthor |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 - |
dc.subject.keywordAuthor | reading achievement level | - |
dc.subject.keywordAuthor | reading habit / attitude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trinsic motiv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efficacy | - |
dc.subject.keywordAuthor | gender gap | - |
dc.subject.keywordAuthor | PISA | - |
dc.subject.keywordAuthor |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 - |
dc.subject.keywordAuthor | 읽기 성취 수준 | - |
dc.subject.keywordAuthor | 읽기 습관・태도 | - |
dc.subject.keywordAuthor | 내재적 동기 | - |
dc.subject.keywordAuthor | 효능감 | - |
dc.subject.keywordAuthor | 성별 격차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02-3290-1114
COPYRIGHT © 2021 Korea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