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 대표 유역에 대한 적용 및 기존연구 평가A new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Application to representative basins and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 Other Titles
- A new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Application to representative basins and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 Authors
- 강민석; 이영주; 박창열; 유철상
- Issue Date
- 2018
- Publisher
- 한국수자원학회
- Keywords
- Jeju Island; Soil series; Hydrologic soil group; Runoff curve number; 제주도; 토양통; 수문학적 토양군; 유출곡선지수
- Citation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51, no.12, pp.1261 - 127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 Volume
- 51
- Number
- 12
- Start Page
- 1261
- End Page
- 1271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9614
- ISSN
- 1226-6280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2018)의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의 하천유역(중문천, 천미천, 한천)에 적용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적용의 결과로서 이들 세 유역의 CN 값이 산정되었으며, 이 값은 기존의 세 가지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제주도에서의 침투, 강우-유출 해석 등에 사용되는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선택된 방법론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에 따른 제주도 대표 유역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결과를 비교한 결과, Lee et al.(2018)의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B군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Hu and Jung(1987)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C군과 D군이, Jung et al.(1995)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 A군과 C군, 마지막으로 RDA(2007)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D군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된다. (2) Lee et al.(2018)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 대표 유역에 적용한 결과, 3개 유역 모두 기존 방법에 비해 가장 작은 CN 값이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제주도에서의 강우-유출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한 결과, 제주도 유역의 CN 값은 기존 방법에 의해 추정된 것에 비해 작을 가능성이 크고, 또한 초기 손실은 0.2S 이상의 큰 값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