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에 의한 형벌규범의 정당화 그리고 법익개념Prinzipiengestützte Strafnormlegitimation und der Rechtsgutsbegriff
- Other Titles
- Prinzipiengestützte Strafnormlegitimation und der Rechtsgutsbegriff
- Authors
- Gerhard Seher; 이현준; 홍영기
- Issue Date
- 2018
- Publisher
- 한국형사법학회
- Keywords
- Strafrechtstheorie; Rechtsgut; Rechtsgutstheorie; Feinberg; harm principle; offence principle; Paternalismus; Moralismus; 형법이론; 법익; 법익론; 파인버그; 해악원칙; 불쾌원칙; 후견주의; 도덕주의
- Citation
- 형사법연구, v.30, no.1, pp.207 - 23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형사법연구
- Volume
- 30
- Number
- 1
- Start Page
- 207
- End Page
- 234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9748
- ISSN
- 1598-0979
- Abstract
- 독일의 형법학에서 법익(개념)은 근래에 이르기까지 매우 큰 기대를 받아왔다. 체계초월적⋅체계비판적 법익을 통해서 실정형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법익개념을 이용할 때에만 비로소 형법의 정당화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법익개념만으로는 법익의 범위를 가장 좁게 설정하는 인격적 법익론에서부터 법익의 범위를 훨씬 더유연하게 바라보는 입장, 실정법을 해설하는 데에 법익의 역할을 국한시키는 견해, 법익개념을 포기하고 법체계 그 자체의 보호를 목적으로 보고 있는 시각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규범정당화의 대화를 이끌고 갈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법익의 뜻이 아니라, 무엇이 정당화될 수 있는 법률의 내용인가의 문제이며, 이에 답하기 위해서는 다른 (영미법) 원칙들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파인버그의 ‘해악원칙’과 이를 보충하는 ‘불쾌원칙’이 기존의 법익의 역할을 대체하거나 그 맹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형법학에서 이질적으로 생각되었던 ‘후견주의’나 ‘도덕주의’의 사고를 통해 기존 법익개념으로 근거지워질 수 없는 실정법규정들을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School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 School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