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중기후모형을 활용한 동북아시아의미래 생물기후권역 변화분석Analysis of Future Bioclimatic Zones Using Multi-climate Models

Other Titles
Analysis of Future Bioclimatic Zones Using Multi-climate Models
Authors
최유영임철희류지은전성우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Keywords
생물기후권역; 다중기후모형; 동북아시아; 생물다양성; 보전전략; Bioclimatic classification; multi-climate models; Northeast Asia;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Citation
환경영향평가, v.27, no.5, pp.489 - 508
Indexed
KCI
Journal Title
환경영향평가
Volume
27
Number
5
Start Page
489
End Page
50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0228
ISSN
1225-7184
Abstract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보다 적극적인 생물보전전략 수립을 위해 생물 서식환경의 변화예측이 필요하며, 생물기후권역은 유용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생물기후권역구축을 통해 동북아시아의 생물 서식환경을 파악하고, 생물 서식관점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Worldclim에서 제공하는 현재(1970~2000년) 기후자료 및 17개 전 지구 기후모형의 예측자료(RCP4.5, RCP8.5)를 이용하여 2050년대와 2070년대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먼저 현재와 미래의 주요생물기후변수(Aridity index, growing degree days,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seasonality, temperature seasonality)를 구축하여 동북아시아의 생물기후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ISODATA 군집분석으로 현재의 생물기후권역을 구분하고, MLC(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를 통해 미래의 권역변화를 예측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라 대부분의 권역이 북상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권역의 면적과 위도 분포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권역의 축소가 가장 두드러지게나타나는 중국 남부에 위치한 권역을 집중 관리권역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한 생물종 혹은생태계 관련 적응정책 수립 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