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침묵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lence Motivation Scale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lence Motivation Scale
Authors
최명옥박동건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Keywords
종업원 침묵; 침묵동기; 체념적 침묵동기; 방어적 침묵동기; 비몰입 침묵동기; 기회주의적 침묵동기; 관계적 침묵동기; ESEM; employee silence; acquiescent silence motivation; defensive silence motivation; disengaged silence motivation; opportunistic silence motivation; relational silence motivation;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23, no.2, pp.239 - 27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239
End Page
27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309
DOI
10.20406/kjcs.2017.05.23.2.239
ISSN
1229-0661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들이 조직 및 업무 관련하여 의도적으로 침묵을 선택하는 동기를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속된 3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직장인 104명을 대상을 조직 내 침묵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침묵동기에 대한 총 6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해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ESEM 분석을 통해 침묵동기에 대한 5요인(방어적 침묵, 체념적 침묵, 비관여적 침묵, 기회주의적 침묵, 관계적 침묵)을 도출하고 최종 2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와 유사개념(일반적 침묵행동, 발언행동) 간 변별성 검증을 위해 척도 간 E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는 일반적 침묵행동 및 발언행동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침묵동기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직장인 33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침묵동기의 5요인 구조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 침묵동기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