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오대호안 경관의 수행적 소비에 의한 미시간 장소성의 감응과 강화The Affect and Consolidation of Michigan’s Sense of Place through the Performative Consumption of the Great Lakescape

Other Titles
The Affect and Consolidation of Michigan’s Sense of Place through the Performative Consumption of the Great Lakescape
Authors
홍금수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Keywords
감응; 미시간; 수행; 실천; 오대호; 장소성; 호안경관; affect; lakescape; Michigan; performance; practice; sense of place; The Great Lakes
Citation
문화역사지리, v.29, no.2, pp.1 - 30
Indexed
KCI
Journal Title
문화역사지리
Volume
29
Number
2
Start Page
1
End Page
30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395
ISSN
1225-6420
Abstract
미시간은 빙하지형, 청량한 기후, 모레인 토양, 솔송나무·단풍나무·참피나무 혼합림의 자연환경을 구비한 미국 중서부의 대표지역으로서 이리, 세인트클레어, 휴런, 미시간, 슈피리어 등의 호수에 연하여 ‘오대호의 주’라는 별칭을 가진다. 숭고함과 장엄함의 경관미학을 구현한 오대호가 미시간의 장소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경관을 매개로 미시간 사람들과 그들 본원의 장소인 오대호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행과 감응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오대호의 파노라마와 스펙터클에 기초한 미시간 숭엄미학의 구현체인 호안경관은 신화·원시자연·축적·과학·성찰 등의 중층적 맥락에서 조망자의 인식·태도·취향에 따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호안경관의 실천적 소비를 통한 주체와 장소 상호간의 감응은 장소감을 규정하며, 그런 수행이 일상적으로 반복될 때 장소성의 강화로 귀결된다는 논제의 확인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통해 코헨의 유희, 레크리에이션, 경험, 실험, 실존 등의 의미를 담은 호안경관 소비의 수행은 미시간 장소애의 감응을 촉발하고 장소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Keum soo photo

Hong, Keum soo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