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통일 후 동북아 외교안보 환경과 한국외교의 과제Strategic Environment After Korean Unification and Korea's Diplomatic Tasks

Other Titles
Strategic Environment After Korean Unification and Korea's Diplomatic Tasks
Authors
김성한
Issue Date
2017
Publisher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Keywords
Unified Korea; Northeast Asia; strategic buffer state; Power Transitio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통일한국; 동북아; 전략적 완충국; 세력전이; 다자안보협력
Citation
국제관계연구, v.22, no.1, pp.5 - 34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제관계연구
Volume
22
Number
1
Start Page
5
End Page
3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731
DOI
10.18031/jip.2017.06.22.1.5
ISSN
1738-0154
Abstract
한반도 통일은 현재의 대한민국의 가치 체계인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한반도 전체로 확대시키는 역사적 계기가 될 것이고, 통일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역할을 한 주변국(미‧일‧중‧러)과 협력을 유지‧확대해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를 열게 될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통일한국과 동맹을 계속 유지하고 아·태 지역에 대해 지속적인 리더십을 행사하려고 할 경우, ‘한·미·일 대 중·러’ 경쟁 구도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만일 통일한국 등장 이후 미국이 신고립주의 정책을 펼 경우, 중·일 간의 지역 패권경쟁이 나타날 수 있다. 미국이 어떤 이유에서건 통일한국과의 동맹을 폐기하고 미·일동맹에만 의존하게 될 경우, 미·일 대 중·러 경쟁 구도가 첨예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한국은 중국과 경제적 협력관계를 주로 하면서 정치·안보적 협력 단계로 발전시키는 것은 적절히 ‘속도 조절’을 하고, 영국처럼 안보에 관한 한 한·미동맹이 확고한 중심축이라는 신뢰를 미국으로부터 확보하며, 베트남처럼 지나치게 중국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야 하고, 인도처럼 미국과 과학기술 연대를 구축하여 한국의 브레인 파워를 키워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 International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