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Impact of On-campus Residence on Early Institutional Commitment among College Freshmen: A Focus on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Other Titles
The Impact of On-campus Residence on Early Institutional Commitment among College Freshmen: A Focus on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Authors
전하람
Issue Date
2017
Publisher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Keywords
기숙사 거주; 거주형태; 대학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생 간 상호작용; on-campus residence; living arrangem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student-faculty interaction; student-peer interaction
Citation
한국교육문제연구, v.35, no.4, pp.37 - 63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문제연구
Volume
35
Number
4
Start Page
37
End Page
63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85791
DOI
10.22327/kei.2017.35.4.037
ISSN
1598-831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의 기숙사 거주가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만족도를 포함한 소속 대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개념인 대학몰입은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자취 및 하숙을 하는 학생들과 부모의 집에서 거주하며 통학하는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대학몰입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학교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동체 형성 관련 학생 간 상호작용은 기숙사 거주 효과를 유의미하게 매개하고 있는 반면,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은 제한적인 매개를 보여주었고 학업 관련 학생 간 상호작용은 거주형태와 대학몰입 간의 관계를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에서 기숙사 수용률 증대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동시에, 기숙사 거주를 통한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목적 프로그램을 연계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자취 및 하숙을 하는 학생들의 주거복지 문제와 대학몰입 간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