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교육의 사회변혁능력에 대한 마이클 애플의 분석에 나타나는 문제들 –국가론을 중심으로Problems in Michael Apple's Analysis on Ability of Public Education to Change Society - Focused on Theory of the State

Other Titles
Problems in Michael Apple's Analysis on Ability of Public Education to Change Society - Focused on Theory of the State
Authors
강성훈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교육사상학회
Keywords
마이클 애플; 네오그람시주의; 네오마르크스주의 국가론; 오페; 축적과 정당화; Michael Apple; Neo-Gramscian; Neo-Marxist theory of the state; Offe; accumulation and legitimation
Citation
교육사상연구, v.30, no.3, pp.1 - 25
Indexed
KCI
Journal Title
교육사상연구
Volume
30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2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0487
DOI
10.17283/jkedi.2016.30.3.1
ISSN
1738-1851
Abstract
학교가 가지고 있는 변혁가능성을 논증하는 것은 잘 알려진 마이클 애플의 주요한 이론적과제다. 그의 이론 속에서 이는 Ideology and curriculum 및 Education and power를 통해 완성된 형태로 제출된 바 있다. 이 두 저작은 네오그람시주의의 정치 및 문화이론, 그리고 비판이론적 국가론을 기반으로 그 논증을 수행한다. 전자는 학교에서의 실천들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을 통해 학교가 이미 저항적 실천의 장(site)이라는 주장의 근거를 제공한다. 후자는 그 저항을 사회변혁을 위한 계획적 투쟁으로 전화시킬 수 있다는 물리적 가능성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자본의 축적구조를 안정화시키며 국가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하는 국가기구로서의 학교는 다시 자신의 정당성 역시 확보해야 하는 바, 이 기능들 사이의 모순은 학교에서계획적 이데올로기 투쟁이 가능한 물리적 조건이 된다. 그러나 애플의 정치적 기획은 자신이 터하고 있는 국가론에 상충되는데, 비판이론적 국가론은 축적과 정당화 간 모순으로 인해 국가를 특정 집단이 이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애플의 이론구조 속에서 국가론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한다면 매우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거의 조명 받지 못했다. 상기한 문제는 학교의 변혁가능성이 애플의 이론 속에서 아직 완결되지 않은 과제임을 증명하는 바, 동시에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구들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문제의 유형역시 드러내 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History and Philosophy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