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송서·율창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 ‘적벽부’와 ‘촉석루’의 악보와 가사를 중심으로 -A Textlinguistic Analysis of the ‘Songseo’ and ‘Yulchang’

Other Titles
A Textlinguistic Analysis of the ‘Songseo’ and ‘Yulchang’
Authors
문형희안정오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텍스트언어학회
Keywords
송서; 율창; 텍스트언어학; 결속구조; 결속성; 적벽부; 촉석루시; Songseo; Yulchang; Textlinguistics; Cohesion; Coherence; Jeokbyokbu; Chokseokru-Poem.
Citation
텍스트언어학, v.41, pp.55 - 85
Indexed
KCI
Journal Title
텍스트언어학
Volume
41
Start Page
55
End Page
8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0564
DOI
10.22832/txtlng.2016.41..003
ISSN
1229-0203
Abstract
묵계월 명창 이후의 송서는 일반사람들이 글을 읽는 것과 달리 전문적인음악교육을 받은 전문 소리꾼이 아니고서는 부르기 어려운 것으로 예술성이가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송서는 소설, 시문, 고문 등을 읽을 때 음률을 붙였던 것으로, 서울 장안 우대골을 중심으로 1930년대 당시 유행하던 것을 풍류가객으로 시조와 가사에 뛰어났던 이문원에게서 묵계월 명창이 송서를 배웠고, 지금은 후학들 특히 유창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송서는 구조적 특징 없이 낭송조로 읊조리듯이 부르는 것으로 인식하고있는데, 송서·율창이 독백형식의 노래이기 때문에 사설에 따라 자유자재로박을 늘리거나 줄여 부를 수 있는 유동적인 틀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작품분석을 통하여 텍스트의 구조처럼 음악적 짜임새가 분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율창의 구조를 살피어 보니 텍스트 성질 중 반복, 그리고 축약이 자주나타나며 텍스트의 결속구조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송서의 텍스트 성질을 가사의 내용으로 살피어 보니 ‘적벽부’와 ‘촉석루’ 공히 결속구조와 결속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결속구조로서 병행의 특징을 나타내는 어미와 이유를 나타내는 어미가 강한 결속구조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결속성을 살피어 볼 때 특정한 주제인 자연과인간을 중심으로 어휘들이 강하게 수렴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송서·율창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며, 조선 후기 문학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 창법의 연구는 물론, 근대 문화예술의 이해와 전승을 위한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송서·율창의 텍스트를 한편으로는 내용적으로 한편으로는 형식적으로 구분하여 텍스트언어학적인 분석을 시도한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송서·율창의음악형식적인 면에서 상호텍스트성의 특징을 발견하였고, 텍스트의 결속구조의 특징인 반복이나 생략의 현상을 찾아내었다. 더 나가서 송서의 텍스트안에서 결속성의 특징들을 텍스트에서 찾아낸 것은 향후의 우리 민속적 구비문학과 음악의 결합 형태들을 연구하는 데에 연구형식이나 방법론을 제시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Global Business > German Studies in Division of Global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