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정적 유명인 효과 연구: 유명인·일반인·기업의 잘못에 대한 공중의 책임성인식 비교Negative Celebrity Effect: Public’s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for Celebrities’, Ordinary People’s and Corporations’ Wrongdoing

Other Titles
Negative Celebrity Effect: Public’s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for Celebrities’, Ordinary People’s and Corporations’ Wrongdoing
Authors
강귀영윤영민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PR학회
Keywords
유명인; 정당성 이론; 의도성; 반사실적 사고; 부당성 지각; celebrity; fairness theory; intentionality; counterfactual thinking; perceived unfairness
Citation
홍보학연구, v.20, no.1, pp.79 - 104
Indexed
KCI
Journal Title
홍보학연구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79
End Page
10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0719
DOI
10.15814/jpr.2016.20.1.79
ISSN
1229-2869
Abstract
본 연구는 정당성 이론을 토대로 동일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 주체가 유명인·일반인·기업일 때 공중이어떻게 다르게 책임성을 판단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부정적 유명인 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의도성을변인으로 하여 반사실적 사고, 부당성 지각, 실제적·도의적 책임성 지각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위해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 주체(유명인·일반인·기업)와 의도성(고·저)의 3 × 2 집단 간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사옥(주택) 증축(리모델링) 공사 후 주변 건물의 흔들림 현상으로 피해를 입은 이웃 주민들에 관한 시나리오로 실험연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업의 반사실적 사고, 부당성 지각, 실제적 책임성 지각, 도의적책임성 지각 평균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유명인, 일반인 순으로 나타났다. 반사실적 사고의 경우 기업과 유명인 간, 부당성 지각에는 유명인과 일반인 간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부정적 결과의 주체가 일반인일 때보다 유명인일 때 공중의 책임성 인식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 부정적 유명인 효과가 실재함을 보여주었다. 한편 의도성의 높고 낮음은 공중의 부당성 지각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