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 재판제도/재판권/연방문제재판권을 중심으로 -Jurisdiction of U.S. Federal Courts - Focusing on Adjudication System, Jurisdiction, and 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Other Titles
Jurisdiction of U.S. Federal Courts - Focusing on Adjudication System, Jurisdiction, and 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Authors
정영환
Issue Date
2016
Keywords
Jurisdiction; District; the Adversary system;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FRCP; Federal District Courts; Federal Courts of Appeals;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Subject Matter Jurisdiction; Personal Jurisdiction; 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Diversity Jurisdiction; Supplemental Jurisdiction; The Well-Pleaded Complaint Rule; Declaratory relief; 재판권; 재판구역; 당사자주의; 연방민사소송규칙; 연방 제1심법원; 연방 항소심법원; 연방대법원; 물적 재판권; 인적 재판권; 연방문제재판권; 주(州)가 다른 주민 사이의 소송에 있어서 재판권; 관련재판권; 소장 자체에 잘 주장되어야 한다는 원칙; 확인판결
Citation
저스티스, v.157, pp.151 - 188
Indexed
KCI
Journal Title
저스티스
Volume
157
Start Page
151
End Page
18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0903
ISSN
1598-8015
Abstract
본고는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 재판제도/재판권/연방문제재판권을 중심으로 -’라는 제목으로 미국의 재판제도 일반과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일반 및 연방법원의 물적 재판권 중 연방문제재판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미국의 재판제도 일반을 보았다. 연방 재판제도의 목적과 당사자주의(the adversary system)을 본 후에 연방과 주(州)의 재판제도와 판사의 임명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일반에 관하여 보았다. 연방법원의 재판권은 크게 물적 재판권(Subject Matter Jurisdiction)과 인적 재판권(Personal Jurisdiction)으로 나뉜다. 물적 재판권은 다시 ‘연방문제재판권(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주(州)가 다른 주민 사이의 소송에 있어서 재판권(Diversity Jurisdiction)’과 ‘관련재판권(Supplemental Jurisdiction)’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인적 재판권에 있어서는 개인의 주소지(domicile), 회사의 설립지 또는 사업근거지, 특별한 입법에 의한 경우(Long-Arm Statutes), 최소한의 접촉이론(Minimum Contacts) 등 다양한 재판권의 원인이 되는 문제들이 논의된다. 연방법원의 재판권 일반에서는 연방법원의 재판권에 관한 종류 및 개념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그 이후 연방법원의 물적 재판권 중 하나인 연방문제재판권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연방문제재판권은 연방헌법 제3조 제2항, 28 U.S.C. 제1331조에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해석상 문제되는 것은 ‘연방법 하에서 발생하는(arising under federal law)...’ 것의 의미, 그것의 헌법적 한계, 판례에 기초하여 정립된 ‘소장 자체에 잘 주장되어야 한다는 원칙(The Well-Pleaded Complaint Rule)’과 그 이후의 구체적 적용에 관하여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에 관한 논의가 우리나라 재판권제도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School of Law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Young Hwan photo

CHUNG, Young Hwan
법학전문대학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