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三国遺事』の詩歌における様式区分Literary Classification of Verse in Samguk Yusa

Other Titles
Literary Classification of Verse in Samguk Yusa
Authors
심경호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Keywords
일연; 『삼국유사』; 偈頌; 歌詩; 讚(贊); 詞; 銘; Ilyeon; Samguk Yusa; Gaathaa; Chinese Poetry; Hymn
Citat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v.32, pp.191 - 236
Indexed
KCI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ume
32
Start Page
191
End Page
23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1141
ISSN
1976-0744
Abstract
『삼국유사』는 조선상고사의 역사서이자 불교문화사로서, 서술문체는 기본적으로 한문산문이다. 하지만 『삼국유사』는 偈頌, 詩歌, 讚 등 다양한 시가문학과도 관련이 있다. 『삼국유사』는 詩歌의 여러 양식에 주목하여, 偈頌, 歌詩, 讚(贊), 詞, 銘, 詠史詩 등의 용어를 철저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 점은 『삼국유사』 편찬자 혹은 편찬집단의 고도한 문학의식을 반영한다고 말할 수 있다. (1) 『삼국유사』에는 적은 수이기는 하지만 偈頌이 들어 있다. 본래 불경에는 산문으로 경의 뜻을 풀어 쓰는 長行(契經)과 경의 산문을 요약해서 서술하는 重頌(應頌)이 있고, 다시 불경의 산문과는 관계없이 불교의 교리를 노래한 시가 형태의 偈頌(伽陀)이 있다. 『삼국유사』는 偈頌에 주목하였다. (2) 『삼국유사』에는 詩歌가 들어 있다. 詩는 중국한시의 형식을 모방한 압운한 한시이고, 歌는 이른바 향찰식 표기의 鄕歌이다. (3) 『삼국유사』에는 45조항에 讚이 들어 있다. 讚은 본디 佛讚의 성격이겠으나 더러 史讚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 찬은 「기이」 편의 ‘玉帶’ 조항에 처음 보이는데, 주로 후반부 「興法」편 이하에 집중되어 있다. (4) 한편 『삼국유사』의 주석에는 시가 형식의 자료가 언급되어 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편찬하면서 각 조항마다 讚을 붙여두는 방식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모든 조항에 讚을 붙인 것은 아니다. 선택의 결과인지, 누락인지, 여전히 의문이다. 또한 이 讚은 一然 자신이 창작한 것도 있고, 기존의 것을 전재한 것도 있는 듯하다. 『삼국유사』의 讚은 칠언절구를 지향한 형식이지만, 押韻에서 二句末과 四句末을 隣韻으로 通押하거나 한국한자음의 특성상 동일운으로 인식되거나 去聲과 平聲을 통압한 사례가 있다. 이 사실은 한국의 승려들이 韻語를 사용하는 한 가지 특징을 드러낸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런데 『三国遺事』의 編者(혹은 편찬자들)는 詩歌의 각종 양식을 구별하여, 偈頌․歌詩․讃(賛)․詞․銘․詠史詩 등의 用語를 意識的으로 구분하여 사용했다. 이 점을 보면 그 편찬에 고도한 文学意識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