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만영 시의 반복과 변주 연구A Study of Repetition and Variation in Jang Man Yung’s Poetry

Other Titles
A Study of Repetition and Variation in Jang Man Yung’s Poetry
Authors
오형엽
Issue Date
2015
Publisher
어문연구학회
Keywords
반복; 변주; 언술 구조; 회기; 대구; 병렬적 대구; 대칭적 대구; 연쇄적 대구; 점층적 대구; 장만영; repetition; variation; discourse structure; recurrence; antithesis; parallel antithesis; symmetry antithesis; chain antithesis; gradation antithesis; Jang Man Yung
Citation
어문연구, v.84, pp.297 - 327
Indexed
KCI
Journal Title
어문연구
Volume
84
Start Page
297
End Page
32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4960
DOI
10.17297/rsll.2015.84..012
ISSN
1225-0783
Abstract
이 글은 장만영 시의 반복과 변주의 언술 구조를 그 미적 효과와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시 의식 및 시적 의미에 도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장만영 시의 언술 구조를 크게 부분적 표현의 차원에서 형성되는 ‘반복’과 연 구성의 차원에서 형성되는 ‘변주’라는 두 유형으로 나눈 후, 다시 ‘반복’은 ‘단어의 회기’, ‘문장의 회기’ 등으로 세분하고, ‘변주’는 ‘병렬적 대구’, ‘대칭적 대구’, ‘연쇄적 대구’, ‘점층적 대구’ 등으로 세분하여 그 미적 효과와 기능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장만영의 시에는 부분적 표현의 차원에서 형성되는 반복’의 경우로서 ‘단어의 회기’, ‘문장의 회기’ 등이 빈번히 등장한다. 먼저 ‘단어의 회기’는 <뻐꾹새 감상(感傷)>, <산으로 가고 싶지?>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뻐꾹새 감상(感傷)>은 명사 “아가”, “나”, “뻐꾹새”, “울음” 등의 명사, “모르고” 등의 동사, “~느뇨” 등의 어미를 중심으로 ‘단어의 회기’가 주로 나타나고, <산으로 가고 싶지?>는 “~고 싶지?”가 9회, “~겠지?”가 5회, “~같지?”가 2회 회기하는 등 서술형 어미를 중심으로 반복되는 언술 구조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문장의 회기’는 <귀거래>, <사랑>, <내가 눈감기 전에-C․L에게>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귀거래>는 “돌아가리, 내 아가의 곁으로 돌아가리”라는 문장을 회기함으로써 음악적 리듬감을 형성하고, <사랑>은 1연, 2연, 3연, 4연의 마지막 행에 공통적으로 “순아 우리 단 둘이 사자”라는 문장을 반복함으로써 음악적 리듬감을 형성하며, <내가 눈감기 전에-C․L에게>는 1연, 2연, 3연의 마지막 행에 공통적으로 “어떻게 잊으랴, 내가 눈감기 전에……”라는 문장을 회기함으로써 음악적 리듬감을 형성한다. 장만영의 시에는 연 구성의 차원에서 형성되는 ‘변주’의 경우로서 ‘병렬적 대구’, ‘대칭적 대구’, ‘연쇄적 대구’, ‘점층적 대구’ 등이 빈번히 등장한다. 먼저 ‘병렬적 대구’는 <양(羊)>, <비>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양(羊)>의 전체적 구도는 A(1연)-B(2연)-C(3연)-D(4연)로 전개하는 ‘병렬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주고, <비>의 전체적 구도는 A(1연)~G(7연)로 전개하는 ‘병렬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대칭적 대구’는 <달․포도․잎사귀>, <애가(哀歌)>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달․포도․잎사귀>의 전체적 구도는 A(1연)-B(2연)-C(3연)-B’(4연)-A’(5연)로 전개하는 ‘대칭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주고, <애가>의 전체적 구도는 A(1연)-BB’(2연)-C(3연)-B’B(4연)-A’(5연)로 전개하는 ‘대칭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준다. 장만영 시에서 ‘연쇄적 대구’는 <포도알 풍경(風景)>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포도알 풍경(風景)>의 전체적 구도는 1연(A)-2연(B)-3연(C)-4연(D)으로 전개하는 ‘연쇄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점층적 대구’는 <돌아오지 않는 두견이>, <나부(裸婦)>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돌아오지 않는 두견이>의 전체적 구도는 A(1연)-B(2연)-C(3연)로 전개하면서 점차 시상이 고조되는 ‘점층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주고, <나부(裸婦)>의 전체적 구도는 A(1연)-B(2연)-C(3연)-D(4연)로 전개하면서 점차 시상이 고조되는 ‘점층적 대구’의 언술 구조를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Oh, Hyung yup photo

Oh, Hyung yup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