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경미학의 현황-발전과 전망Neuroaesthetics Now-Development and Prospect

Other Titles
Neuroaesthetics Now-Development and Prospect
Authors
김채연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Keywords
neuroaesthetics; fMRI; art; appreciation; perception; emotion; reward; DMN; 신경미학; fMRI; 예술; 감상; 지각; 정서; 보상; 디폴트모드 네트워크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27, no.3, pp.341 - 365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ume
27
Number
3
Start Page
341
End Page
36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005
DOI
10.22172/cogbio.2015.27.3.002
ISSN
1226-9654
Abstract
미적 경험에 대한 영향력있는 이론적 모델과 fMRI를 이용한 다수의 실험적 연구가 발표된 2004년 이후 지난 10년 간, 신경미학 분야는 눈부신 성장을 이뤄왔다. 본 개관논문은, 신경미학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에 부응하며, 그간 놀라운 속도로 축적된 다양한 연구 성과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첫째, 초기 신경미학의 주요 연구 성과들을 간단히 논의하고, 그 바탕 위에서 둘째, 최근 신경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한다. 먼저 최근 연구들은 예술 감상의 하위과정들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좀 더 정교하게 계획하려고 한다. 이는 미적 판단 과제와 대비되는 통제 과제를 도입하고, 표현 대상보다 예술적 표현 그 자체에 주목하며, 학습과 전문성 등 미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과정과 그 뇌 기전을 탐구하고, 미적 경험을 조절하는 맥락효과와 이에 따른 신경반응을 검토하고, 지각과 정서(보상) 처리 관련 신경 네트워크 이외에 디폴트모드 네트워크가 예술작품의 감상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구체화된다. 이어 본 논문은 미술 이외의 예술장르와 연관된 최근 신경미학 연구들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의 다각화 경향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신경미학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좁은 정의와 주관적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에 대한 비판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신경미학 분야에서 기대되는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Chai Youn photo

Kim, Chai Youn
School of Psychology (School of Psych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