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Landscape of the Capital District During the Hanseong-Baekje Period

Other Titles
Landscape of the Capital District During the Hanseong-Baekje Period
Authors
이홍종
Issue Date
2015
Publisher
중부고고학회
Keywords
Palaeo-environmental Analysis; Micro-Landscape Analysis; Alluvial plain; Natural Levee; River Terrace; 고지형환경분석; 미지형분석; 충적지; 자연제방; 단구; 도성권; 지형경관
Citation
고고학, v.14, no.1, pp.45 - 67
Indexed
KCI
Journal Title
고고학
Volume
14
Number
1
Start Page
45
End Page
6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163
ISSN
1598-9852
Abstract
충적지 지형은 기후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역사시대 이후로는 자연의 영향만이 아니라 토지의 개간이나 토기, 철기와 같은 생산활동의 증가 등에 의해 주변의 삼림이 훼손되면서 인위적인 요인도 지형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처럼 지형변화가 빈번한 충적지는 인간이 점유하면서 토지이용이 극대화되었던 시기도 있었던 반면, 거의 사용할 수 없었던 시기도 존재한다. 따라서 충적지 지형의 형성과정과 규모 및 이용 시기 등을 예측할 수 있다면 유적의 존재 가능범위를 찾을 수 있고 나아가 유적을 조사하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본고는 고지형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풍납토성을 중심으로 한 주변지역의 지형을 분석하여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경관을 복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작성되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에 위치한 풍납토성은 한강의 범람과 퇴적으로 인해 형성된 전형적인 자연제방 상에 입지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도시개발계획이 본격화되면서 옛 지형의 모습은 대부분 사라져 과거 지형의 흔적은 개발되기 이전 항공사진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1966년도와 1974년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도성권의 지형을 분석한 후, 기 조사된 도성과 관련된 유적과 지형의 관계를 살피고, 나아가 도성권 전체의 지형별 유적의 경관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풍납토성의 미지형분석을 실시하여 성곽의 범위, 해자, 성곽내의 단차, 성문의 위치 등을 살펴보고, 도성권 전체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풍납토성의 입지조건, 성곽구조, 성곽 내부의 구분, 도성의 물류기지, 고분의 입지, 주변의 경제적 기반 등 전반적인 도성권의 모습을 추정・복원해 볼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