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A Study on Improving the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ing the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uthors
서정화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고전번역원
Keywords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DB of Korean Classics; Highlighting; inexhaustible sources of annotation; standard of information;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고전번역서 각주정보검색; 주석DB; 주석의 無盡藏; 字典 및 類書로서 활용; 諸子書 학습교재 구성; 정보의 표준안; 하이라이팅; 한국고전번역원
Citation
민족문화, v.45, pp.69 - 96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화
Volume
45
Start Page
69
End Page
9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550
DOI
10.15752/itkc.45..201506.69
ISSN
1738-4648
Abstract
본고는 한국고전번역원이 구축한 한국고전종합DB의 “고전번역서 각주정보검색(이하 주석DB)”의 활용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주석DB를 선택한 이유는, 187종 1,528책에 수록된 499,151건의 주석이 구축되어 있고 주석의 질적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주석 없는 번역은 그야말로 최상의 번역이지만, 고전이나 전문 영역에서 주석 없이 번역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주석 작업은 녹록치 않아서 며칠을 고심하며 찾아도 해결하지 못하는 주석이 비일비재하다. 주석DB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전고를 해결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좋은 번역’에는 ‘좋은 주석’이 달려 있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좋은 주석’은 ‘좋은 번역’을 재창출하는 선순환 구조가 된다. 본고는 ‘字典 및 類書로서 활용’과 ‘諸子書 학습교재 구성’의 측면에서 주석DB의 활용을 살펴보았고, ‘조각난 정보의 표준안 마련’, ‘인물정보의 표준안 마련’, ‘하이라이팅 추가 및 검색 방식 개선’의 측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역량 부족으로 잘못 제기한 부분도 있겠지만, 주석DB의 활용방안과 개선방안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루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