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공적연금제도의 진화와 전환The evolution and transition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in Korea

Other Titles
The evolution and transition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in Korea
Authors
유현경김원섭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사회정책학회
Keywords
국민연금개혁; 역사적 제도주의; 전환; Pension Reform; National Pension Scheme; Institutionalism
Citation
한국사회정책, v.22, no.2, pp.135 - 16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사회정책
Volume
22
Number
2
Start Page
135
End Page
16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610
DOI
10.17000/kspr.22.2.201506.135
ISSN
1226-0525
Abstract
1990년대 이후의 한국 복지국가 발전에 대한 연구에서는 압축적 성장과 신자유주의적 전환의 극단적인 두 입장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극단적 양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공적 연금제도의 발전을 연구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질문을 제기한다. 첫째, 국민연금의 두번의 개혁이 공적연금제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둘째, 이러한 공적연금제도의 변화를 가져온 요인은 무엇인가? 분석결과에 따르면, 국민연금제도의 두 번의 개혁은 신자유주의적 삭감과 압축적 성장보다는 각각 전환(Conversion)과 부분적 대체(Partial Displacement)와 같은 점진적인 제도적 전환으로 더 잘 파악될 수 있다. 국민연금제도는 애초에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1998년의 제1차 개혁으로 국민연금의 목표는 전체 근로인구에게 보편적인 노후소득보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2007년 제2차 국민연금 개혁에서는 사회보험독점의 공적연금제도 일부분이 사회부조제도인 기초노령연금에 의해 대체되었다. 또한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시하는 정치적 맥락과 제도의 재량이라는 요인이 이러한 변화양상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차 개혁에서는 제도유지에 대한 정치적 지지의 약화와 제도의 재량수준의 하락이 부분적 대체로의 전환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제1차 개혁처럼 삭감개혁이 아니라 확대개혁의 경우 제도의 재량 수준이 높고 제도유지를 지지하는 세력이 강하더라도 표류보다는 전환의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Won sub photo

KIM, Won sub
문과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