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현대 건축의 언캐니와 탈역사 논의 - 앤서니 비들러의 『The Architectural Uncanny』(1992)를 중심으로 -Discourse on the Uncanny and Posthistoire in Modern Architecture - on the basis of Anthony Vidler's The Architectural Uncanny (1992) -

Other Titles
Discourse on the Uncanny and Posthistoire in Modern Architecture - on the basis of Anthony Vidler's The Architectural Uncanny (1992) -
Authors
김현섭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건축역사학회
Keywords
건축의 언캐니; 탈역사; 앤서니 비들러; 숭고; 모더니티; architectural uncanny; posthistoire (posthistory); Anthony Vidler; sublime; modernity
Citation
건축역사연구, v.24, no.4, pp.45 - 54
Indexed
KCI
Journal Title
건축역사연구
Volume
24
Number
4
Start Page
45
End Page
5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623
DOI
10.7738/JAH.2015.24.4.045
ISSN
1598-1142
Abstract
이 연구는 앤소니 비들러의 『The Architectural Uncanny』(1992)에 나타난 현대 건축의 언캐니와 탈역사 사이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그가 탈역사 개념을 (극복의 대상으로) 도입한 근래의 『Histories of the Immediate Present』(2008)도 유용한 탐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비들러의 입장을 상대화하기 위해 프로이트, 료타르, 바티모, 하버마스 등의 다양한 저작 역시 검토했다. 본고는 먼저 숭고에서 뻗어 나온 언캐니과 탈역사의 역사를 개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각각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얻은 후에 『The Architectural Uncanny』의 「Introduction」과 「Losing Face」 장에 병치된 탈역사 철학의 맥락을 짚어봤다. 여기서 언캐니와 탈역사는 ‘반복’과 ‘파사드의 상실’ 및 ‘근본적 거주가 불가능한 현대의 조건에 대한 은유’를 통해 연계된다. 비록 각 장에서 비들러가 인식한 탈역사는 ‘자본주의의 공허함’과 ‘재현의 해체’로 상이하게 해석되지만, 두 이슈 모두 ‘여전히 열려있는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버마스의 주장처럼, 그리고 그를 수용한 비들러의 입장처럼, 모더니티가 ‘미완의 기획’이라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구분을 뛰어넘어 건축 창작의 혁신적 실험과 내적 재평가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on Sob photo

KIM, Hyon Sob
공과대학 (건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