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K-척도)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DSM-5 인터넷 게임 장애의 진단을 중심으로A study for examining diagnostic ability of the K-Scale as a diagnostic tool for DSM-5 Internet Gaming Disorder

Other Titles
A study for examining diagnostic ability of the K-Scale as a diagnostic tool for DSM-5 Internet Gaming Disorder
Authors
구훈정조성훈권정혜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Keywords
인터넷 중독; 인터넷 게임 장애; 인터넷 게임 중독; 진단용 절단점수; 타당도; Internet gaming disorder; Internet game addiction; validity; diagnostic cut-off point
Cit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34, no.2, pp.335 - 352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ume
34
Number
2
Start Page
335
End Page
35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804
DOI
10.15842/kjcp.2015.34.2.001
Abstract
K-척도는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는 데 있어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척도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K-척도가 DSM-5에 의거한 인터넷 게임 장애(Internet Gaming Disorder)의 진단 도구로서 타당한지에 대한 준거 타당도를 밝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 게임 장애(IGD) 진단을 위한 최적의 절단점수(cut-off)를 구하고, K-척도의 민감도, 특이도, 진단정확도 등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서울과 경기도 소재 남녀 중학생 213명, 대학병원 외래 환자 5명, 서울 시내 PC 방을 이용하는 남녀 학생, 57명, 총 275명의 자료 중 불성실 응답 자료 1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7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장애 진단을 위한 구조화된 진단 면담 도구(DIS-IGD)를 이용하여 일대일 진단 면담을 실시하고, K-척도, 단축형 간이증상평가 척도, 주커만-쿨만 성격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DIS-IGD를 통한 ‘인터넷 게임 장애’ 진단을 준거로 삼았을 때, K-척도의 증상척도인 일상생활장애요인, 금단요인, 일탈행동, 내성요인의 4개 소척도 26문항만을 사용한 증상 K-척도가, 전체요인을 모두 사용한 전체 K-척도보다 진단능력이 더 우수했다. 이에 26문항 K-척도의 절단점수를 산출하고자 민감도와 특이도를 산출한 결과, 진단절단점수를 60/61점에서 민감도가 61.1%, 특이도가 84.0%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울과 경기도 소재 남녀 중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K-척도를 포함한 자기보고검사만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총 412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K-척도 절단점수(60/61점)를 통한 선별 집단 분류의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증상 K-척도의 진단절단점수(60/61점)에 의해 인터넷 게임 장애군으로 지정된 선별군(case group)과 비선별군(non-case group)은 성별, 부의 귀가시간, 게임 이용패턴, 인터넷 게임 중독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증상 K-척도의 진단절단점수가 인터넷 게임 장애로 선별된 집단과 비선별된 집단을 유의하게 변별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증상요인으로 구성된 26문항 증상 K-척도는 선별검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역학 조사에서 진단적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