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제척·기피·회피Disqualification and Recusal of Constitutional Court Justice

Other Titles
Disqualification and Recusal of Constitutional Court Justice
Authors
김하열
Issue Date
2014
Keywords
Disqualification; Disqualification ipso jure; Recusal; Judicial Impartiality; Public Trust in the Justice; 제척; 기피; 회피; 재판의 공정성; 사법 신뢰
Citation
저스티스, v.144, pp.102 - 127
Indexed
KCI
Journal Title
저스티스
Volume
144
Start Page
102
End Page
12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9974
ISSN
1598-8015
Abstract
실무상 많은 사례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대한 제척․기피․회피제도는 재판의 공정성을 담보하고 국민의 신뢰 제고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제도이다. 법 제24조는 이에 관해 비교적 간명한 규정만을 두고 있지만, 적정한 해석론의 보완을 통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운용되도록 해야 한다. 법 제24조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민사소송과 다른 헌법재판의 고유한 특성을 살펴 그에 맞는 해석론을 전개해야 할 것인바, 한편으로 헌법재판의 원활한 기능보장에 장애를 초래해서도 안 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제척․기피 사유의 지나친 협애화는 재판관의 윤리적 책임과 대국민 신뢰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제척․기피 사유의 판단 단위가 되는 ‘사건’에는 헌법재판소에 계속 중인 사건은 물론, 헌법재판소 심판 계속의 요건이 되거나 직접적인 계기를 제공한 헌법재판소 외의 사건도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기피 사유는 ‘공정한 심판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라는 일반적․포괄적 사유로 설정되어 있어서 제척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사정이라도 기피 사유에는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제척 사유에 근접한 사정이 있다 하여 그 자체로 기피 사유가 바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사정이 있음으로 해서 공정한 심판을 기대할 수 없는지를 개별적으로 판단해 보아야 한다. 회피 사유의 존재가 명백하다면 재판관은 회피의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헌법재판소 사무관등 또는 헌법연구관에 대해서는 재판관에 대한 제척․기피․회피제도가 준용되지 않는다고 볼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School of Law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a Yurl photo

Kim, Ha Yurl
법학전문대학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