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갈등에서의 회피적 갈등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조절효과:온오프라인 환경과 성차를 중심으로The Moderation Effect of Avoidant Coping Strategy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 and Depression: The Comparison of Avoidant Copings Strategies in Online and Offline Space
- Other Titles
- The Moderation Effect of Avoidant Coping Strategy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 and Depression: The Comparison of Avoidant Copings Strategies in Online and Offline Space
- Authors
- 김가을; 양은주; 권정혜
- Issue Date
- 2013
- Publisher
- 한국여성심리학회
- Keywords
- online; avoidant coping strategies; depression; interpersonal conflict; 온라인 대인관계; 회피적 갈등대처; 우울; 조절효과
- Citation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v.18, no.2, pp 279 - 294
- Pages
- 1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Volume
- 18
- Number
- 2
- Start Page
- 279
- End Page
- 294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5145
- DOI
- 10.18205/kpa.2013.18.2.002
- ISSN
- 1229-0726
- Abstract
- 본 연구는 회피적 갈등대처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조절효과와 함께 성별과 대인관계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62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 형식을 통하여 대인관계 갈등과 우울,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회피적 대처방식의 사용을 각각 평가하였고, 성별을 포함하는 인구 통계학적 정보를 조사하였다. 이 중 결측치와 단일변인 극단치, 다변인 극단치를 제외한 사례는 총 589명으로 남성 263명, 여성 326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대인갈등,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회피적 갈등대처, 성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갈등과 온라인 회피적 갈등대처의 사용, 성별이 삼원 상호작용을 보였으며, 이는 오프라인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어 기울기 차이검증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보다 명확히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회피적 갈등대처는 남성에게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보다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남성이 온라인 환경에서 높은 대인갈등을 경험할 때, 회피적 갈등대처는 보다 낮은 우울로 이어졌으며, 반면 남성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높은 대인갈등을 경험할 때, 회피적 갈등대처의 사용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울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