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직무 전문성 및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개인 적응성과간의 관계에서 팀 공유멘탈모델의 다수준적 조절역할The cross-level moderating role of team shared mental model between job expertise, creativity self-efficacy and individual adaptive performance.

Other Titles
The cross-level moderating role of team shared mental model between job expertise, creativity self-efficacy and individual adaptive performance.
Authors
배범수이진규김학수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인사관리학회
Keywords
Job expertise; Creativity self-efficacy; Individual adaptive performance; Team shared mental model. Cross-level moderating role.; 직무 전문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개인 적응성과; 팀 공유멘탈모델; 다수준적 조절효과
Citation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36, no.4, pp.1 - 28
Indexed
KCI
Journal Title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ume
36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28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9667
ISSN
2733-4341
Abstract
기존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성과로서 과업 및 맥락성과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최근, 경영환경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적응성과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왜냐하면,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업무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적응성과는 업무변화의 결과물이며, 이를 위해 전문성, 창의성 등에 기반을 둔 확산적인 사고가 요구되는 반면,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인지적 능력과 성격 등이 중점적으로 규명되었고, 적응성과가 명확히 나타나는 액션 및 협상팀 연구는 제한적인 상태이다. 또한 적응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확산적 사고를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팀 특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69개의 액션 및 협상팀의 팀장 및 481명의 팀원들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 직무 전문성,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개인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팀 공유멘탈모델의 다수준적 조절역할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직무 전문성은 개인 적응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개인 적응성과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전문성과 개인 적응성과간의 영향관계에서 팀 공유멘탈모델의 다수준적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개인 적응성과간의 영향관계에서 팀 공유멘탈모델의 정적인 다수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