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A Critical Review of Organizational Justice Literature in Korea: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ther Titles
A Critical Review of Organizational Justice Literature in Korea: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uthors
문형구최병권고욱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인사조직학회
Keywords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Informational Justice; Critical Review; 조직공정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정보공정성; 비판적 고찰
Citation
인사조직연구, v.17, no.2, pp.229 - 306
Indexed
KCI
Journal Title
인사조직연구
Volume
17
Number
2
Start Page
229
End Page
30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1074
ISSN
1598-8740
Abstract
조직공정성은 모든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쏟아 온 주제이다. 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의 정도가 조직 속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지난 15여 년간 조직공정성에 대한 국내 경영학계의 연구는 인사고과, 보상, 조직변화 등 다양한 상황 속의 조직공정성을 다루어 왔다. 국내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돌이켜보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고민하는 노력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지난 15년간 이루어진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행동 및 인사ㆍ조직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총 62편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구성은 전반적 연구 현황,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 그리고 실질적 분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반적 연구 현황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을 연구 편수, 연구 유형, 연구 대상 등을 기술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이론 및 유형, 연구의 형태 그리고 연구방법 등과 관련한 이슈 및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 조직공정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조직공정성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국내 실증 연구 결과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의 조직공정성 연구는 서구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첫째 조직공정성 이론의 활용에 있어 특정 이론에 치우쳐 있다는 점, 둘째 조직공정성의 유형 중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할수 있다. 또한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결과는 서구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서구 연구에 비해 다양한 결과변수가 연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이론의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에 관한 다양한 이론의 활용,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이론의 개발, 조직공정성 유형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불공정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2) 조직공정성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조직공정성의 유형뿐만 아니라 조직공정성의 원천(공정성을 인식하는 대상, 즉 무엇에 대한 공정성인지)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유형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3) 연구형태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 유형들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정성적 연구의 필요성, 분석수준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4) 마지막으로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다양한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예를 들면 스트레스 혹은 직장가정 갈등), 조직공정성의 선행 요인에 대해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인식 및 결과에 있어서 개인차와 감정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맺음말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향후 과제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