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 보조용언의 표상 양식과 처리 특성Th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of Korean Auxiliary Verbs in the Mental Lexicon

Other Titles
Th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of Korean Auxiliary Verbs in the Mental Lexicon
Authors
황유미이호영남기춘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Keywords
auxiliary verb; mental lexicon; mental representation; language processing; 보조용언; 본용언; 심성어휘 표상; 언어정보처리
Citatio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14, no.2, pp.173 - 182
Journal Title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ume
14
Number
2
Start Page
173
End Page
18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1589
Abstract
배경 및 목적: 한국어의 보조용언은 본용언(일반 용언)과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으나 통사적 구성과 의미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여러 이론적 논의의 주제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어 보조용언의 심성어휘 표상 양식 및 정보처리의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모두 사용되는 9개의 용언을 선정하여 동일한 형태의 용언(예: 가다) 을 대상으로 본용언 문맥(예: 철수가 집에 갔다)과 보조용언 문맥(예: 밥이 다 되어 갔다)에서 본용언의 의미가 활성화되는지 의미점화 어휘판단과제(semantically primed lexical decision task)를 실시하였다.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를 150ms (실험 1)와 1,000ms (실 험 2)로 조정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SOA 150ms (실험 1)와 SOA 1,000ms (실험 2)에서 본용언 문맥과 보조용언 문맥에서 모두 본용언 관련 목표어에 대한 의미적 활성화가 유의미하게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실험 결과를 통해 한국어의 보조용언은 국어학적으 로 본용언과 의미적, 구문론적 차이가 구분되지만 언어정보처리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정보처 리의 양상이 관찰되므로 심성어휘집에서 보조용언의 표상 설정에 있어 본용언과의 관련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Ki chun photo

Nam, Ki chun
심리학부 (심리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