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Sacharomyces cerevisae JUL3의 균체량 생산을 위한 배지조성 최적화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Cell Mass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JUL3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Other Titles
-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Cell Mass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JUL3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Authors
- 김승욱; 백현동; 강창원; 김영환; 장효일; 강성우; 윤철원; 이종호
- Issue Date
- 2006
- Publisher
- 한국생물공학회
- Keywords
- β-Glucan; Saccharomyces cerevisiae JUL3; high fructose syrup;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β-Glucan; Saccharomyces cerevisiae JUL3; high fructose syrup;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Citation
- KSBB Journal, v.21, no.6, pp.479 - 48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KSBB Journal
- Volume
- 21
- Number
- 6
- Start Page
- 479
- End Page
- 483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25994
- ISSN
- 1225-7117
- Abstract
- 본 연구는 효모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β-Glucan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 JUL3의 균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 cerevisiae JUL3의 배양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kinetic parameter를 조사하였을 때 specific growth rate (μ)는 0.145 h-1, yield (Yx/s)는 0.332 g/g, glucose 소모속도(qs)는 0.437 h-1이며 productivity (P)는 0.4827 g/ℓh을 나타내었다. 균체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탄소원과 질소원은 고과당 (high fructose syrup)과 yeast extract이었다. 효모균체 대량생산 및 scale up을 위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을 통하여 고과당과 yeast extract에 대한 최적농도를 조사하였다. 균체량이 가장 많이 생산되어질 수 있는 조건으로 제시된 고과당과 yeast extract의 최적농도는 각각 8.0 %와 5.2 %였으며, 이 때 예측되는 균체량은 16.95 g/ℓ이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Division of Life Science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