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동성애에 대한 한국 영화의 시각적 프레임(visual frames): <왕의 남자>, <쌍화점>, <서양골동 양과자점 앤티크>를 중심으로Visual Frames of Homosexuality in Popular Korean Films: On King and the Clown, A Frozen Flower, and Western Antique Bakery

Other Titles
Visual Frames of Homosexuality in Popular Korean Films: On King and the Clown, A Frozen Flower, and Western Antique Bakery
Authors
김정선민영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Keywords
프레임; 시각적 프레임; 시각적 이미지; 동성애; Framing Theory; Visual Frames; Homosexuality
Citation
미디어, 젠더 & 문화, no.24, pp.89 - 117
Indexed
KCI
Journal Title
미디어, 젠더 & 문화
Number
24
Start Page
89
End Page
117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148
ISSN
1738-2483
Abstract
본 연구는 일탈적 이슈인 ‘동성애’가 대중 영화를 통해 어떻게 시각적으로 재현되었으며 그를 통해 어떤 의미가 구축되었는지를 프레임 이론을 통해 조명했다. 구체적으로 <왕의 남자>, <쌍화점>, <서양골동 양과자점 앤티크> 등 세 편의 흥행 동성애 영화를 대상으로 동성애에 특정한 관점이 드러난 ‘씬(scene)’들을 선택하여, 그 장면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이미지를 카메라, 조명, 색 등의 영상미학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두 가지 대표적인 프레임이 발견되었다. 먼저, 동성애 영화들은 ‘성 역할 대비 프레임’을 통해 동성 연인들을 남자와 여자로 구분 짓고 이들에게 전통적인 사회적 성 역할을 부여했다. 즉 ‘동성애’의 정체성은 남성의 육체에 사회적 여성성이 가미된 것으로 재현되었으며, 관객들은 대중적 동성애 영화를 통해서 여전히 ‘남성 중심의 이성애적 로맨스’를 소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체 부분 부분에 대한 카메라의 섬세한 클로즈업을 통해 여성으로 구분된 동성애자를 에로틱한 대상으로 전시하는 효과를 창출해내고 성 역할 구분을 공고화했다. 또한 ‘갈등 와해 프레임’을 통해 동성애를 둘러싼 갈등이나 논란의 요소를 무력화했는데, 특히 화려한 색과 조명, 롱샷의 카메라 기법 등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고 동성애에 대한 불편함을 완화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in, Young photo

Min, Young
미디어학부 (미디어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