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교육과 어휘 교육Grammar education and vocabulary education
- Other Titles
- Grammar education and vocabulary education
- Authors
- 이관규
- Issue Date
- 2011
- Publisher
- 국어교육학회
- Keywords
- grammar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content; method; measurement; 문법 교육; 어휘 교육; 내용; 방법; 평가
- Citation
- 국어교육학연구, no.40, pp 127 - 158
- Pages
- 3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국어교육학연구
- Number
- 40
- Start Page
- 127
- End Page
- 158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34428
- DOI
- 10.20880/kler.2011..40.127
- ISSN
- 1225-8571
- Abstract
- 어휘는 단어의 집합이다. 따라서 어휘는 단어를 다루는 단어론에서 다루면 된다. 단어론은 단어의 형성 과정을 주로 다루는 형태론과 단어의 결과를 다루는 어휘론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해서 음운, 단어, 문장, 담화, 의미 등 모든 문법 단위를 다루는 학교 문법 입장에서 볼 때 어휘 교육 관련 내용은 문법 교육의 일부로 다룰 수 있다. 물론 어휘는 국어생활에서 기초적인 것이기 때문에 화법, 독서, 작문, 문학 교육에서도 다룰 수가 있다.
어휘 연구라 하면 관계 연구, 분포 연구, 정책 연구로 나누는 게 일반적이지만, 문법 교육에서는 어휘의 분포 연구 항목만을 어휘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곧 주로 어휘의 계량, 어휘의 체계와 양상 내용을 문법 교육에서 다루고 있다. 관계 연구는 문법 교육의 다른 영역, 즉 의미론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정책 연구는 따로 교수 학습되는 경우가 드물다.
어휘 교육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대개 받아쓰기 차원에서 이루어질 뿐 중등학교 차원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지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의 구분, 혹은 방언, 속담, 관용어 등 기본적인 사항만 교과서에서 몇 개 다루어지고 있는데, 전문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도 쉽지 않다. 평가 방법도 대개 지필 평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 문법 교육에서의 독특한 방법이 있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어휘 자체가 여러 영역에 걸쳐 있는 것인 만큼 통합적인 방법으로 교수 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