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남성 규범 순응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Mediating Effec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 and Psychological Distress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 and Psychological Distress
Authors
백주희양은주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남성규범; 심리적 디스트레스; 남성 성역할 갈등; Conformity to Masculine Norm; Psychological Distress; Male Gender Role Conflict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22, no.6, pp.453 - 46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22
Number
6
Start Page
453
End Page
466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3510
DOI
10.5392/JKCA.2022.22.06.453
ISSN
1598-4877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있어서 성역할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차원적인 남성 규범에 대한 순응이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39세의 남성 참여자 358명을 대상으로 남성 규범 척도, 남성 성역할 갈등 척도 그리고 일반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에 따라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인 ‘힘과 통제’와 ‘직업과 자립’, ‘정서 억제’는 각각 성역할 갈등의 하위요인인 ‘여성성에 대한 공포’를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남성 규범 중 ‘남성 리더십’과 ‘가족 부양자’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인 직접 효과를 가졌으며,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며, 특히 성역할 갈등 중 여성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함으로써 남성 규범의 역기능적 역할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ang, Eun joo photo

Yang, Eun joo
School of Psychology (School of Psych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