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말년의 글쓰기: 정한숙의 시와 수필 창작의 의미Writing in his later years: Jung Han-Sook’s poems and essays

Other Titles
Writing in his later years: Jung Han-Sook’s poems and essays
Authors
김종훈
Issue Date
2022
Publisher
민족어문학회
Keywords
poetry; essay; individuality; hometown; face; shadow; soul; 정한숙; 시; 수필; 개별성; 고향; 얼굴; 그림자; 영혼; Jung Han-Sook
Citation
어문논집, no.95, pp 71 - 92
Pages
22
Indexed
KCI
Journal Title
어문논집
Number
95
Start Page
71
End Page
9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6731
DOI
10.33335/KLL.95.3
ISSN
1226-6388
2765-3455
Abstract
이 연구는 정한숙이 말년에 발간한 시집과 수필집을 검토하여 소설가의 임무를 벗어난 곳에서 파악할 수 있는 작가의 인식 체계를 헤아리려 했다. 시와 수필에 처음부터 줄곧 등장하는 고향은 그에게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게 하는 동력이었다. 그는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공간을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시간으로 치환하여, 실향을 일반적인 체험으로 만든다. 실향에서 비롯되는 죄의식은 체험의 일반화 과정을 거쳐 남한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며 누그러진다. 한편 ‘고향’이 개별성의 기원이라고 한다면 ‘얼굴’은 개별성의 현재라고 할 수 있다. ‘얼굴’은 진술의 현재 타인과 변별되는 주체의 특성을 드러내는 반면 과거와 접속하는 경우 정한숙의 시에서는 어머니의 얼굴을 떠올리게 했다. 또한 그것은 죽음 의식을 거느린 ‘그림자’와 육신의 반대편 뜻을 지닌 ‘영혼’을 호명하게 했는데, 그 까닭을 살펴보면 오히려 ‘육신’의 편에 서기 위해서였다. 육신의 일회성을 믿으며 이 세계에서의 존재 가치에 주목하는 것이 정한숙 시의 전반적인 인식 체계라 할 수 있다. 정한숙이 남긴 말년의 글쓰기는 예술보다 더 큰 전인간의 면모를 완성하려는 고투의 흔적이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ng Hoon photo

Kim, Jong Hoon
College of Liberal Art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