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학교 교육의 실천 방향: 젠더불평등을 중심으로Education Methods for Social Conflicts:Focusing on Gender inequality

Other Titles
Education Methods for Social Conflicts:Focusing on Gender inequality
Authors
김세희신창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Keywords
불평등; 젠더; 젠더불평등; 차별; 차이; 젠더윤리교육; 상호주관성; 비판적 사고; Inequality; gender; gender inequality; discrimination; difference; gender ethics; critical thinking; intersubjectivity
Citation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v.10, no.1, pp.285 - 302
Indexed
KCI
Journal Title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Volume
10
Number
1
Start Page
285
End Page
302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60250
DOI
10.34226/gcl.2020.10.1.285
ISSN
2234-7534
Abstract
본 연구는 젠더불평등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 문제 해소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 민주적 태도를 함양하는 젠더윤리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해 보려는 것이다. 젠더교육은 개인적 성공이나 부의 축적과 같은 수단이나 기능으로서 목표가 아닌, 공동체 안에서 개인이 존중받고 서로 조화롭게 소통하며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즉, 참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도덕적·윤리적 목적성을 가진 교육이기 때문이다. 이에 실제 한국의 교육현장에 존재하는 젠더불평등 문제를 살펴보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교육방법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교육 현장은 여전히 가부장적이고 전통적인 남성성이나 여성성으로서의 성 역할과 고정관념이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전달되는, 젠더불평등 문제가 상존한다. 이러한 불평등은 성적 ‘차이’에 의한 배려가 아니라 ‘차별’이기에, 단지 여성의 권리획득을 위한 작업이 아니라 공동체의 평화로운 질서를 추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교육의 실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주관적이고 개방적 대화와 토론이 가능한 교실 공간의 확보, 둘째,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인식의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와 타인의 불편과 고통을 공감하는 연민의 자세 확립, 셋째, 생각의 주체로서 깨어있는 감각을 가지고 현상을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 함양이다. 이를 위해 시급한 사안은 교육현장에서 젠더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젠더불평등에 대한 의식 변화를 지향하는 교육 실천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Chang Ho photo

Shin, Chang Ho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