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 사회자본, 게임 효능감이 게임 절제력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Game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on Adolescents’ Lack of Self-control in Gam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Game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on Adolescents’ Lack of Self-control in Gam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Authors
- 장문경; 백현미; 김성철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정보사회학회
- Keywords
- 게임 과몰입; 게임 중독; 게임 절제력; 삶의 만족도; 사회자본; 게임 효능감; 성별; Gaming Over-flow; Game Addiction; Lack of Self-control; Life Satisfaction; Game Self-efficacy; Social Capital; Gender
- Citation
- 정보사회와 미디어, v.20, no.2, pp.123 - 14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정보사회와 미디어
- Volume
- 20
- Number
- 2
- Start Page
- 123
- End Page
- 144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035
- ISSN
- 2508-7800
- Abstract
- 게임산업의 규모가 성장하고 이용자들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게임의 역기능에 대한 사회적 우려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성인에 비해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한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등장했다.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문제는 단순히 규제로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대표적 척도 중 하나인 게임 절제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제공한 게임이용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삶의 만족도, 사회자본, 그리고 게임 효능감이 게임 절제력 부족에 끼치는 영향을 패널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성별을 조절변수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가 높거나 충분한 사회자본을 가진 청소년은 게임 절제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높은 게임 효능감은 게임 절제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 변수의 평균값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며, 여학생일 경우에는 게임 효능감이 게임 절제력 부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판명됐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게임 과몰입, 특히 게임 절제력 부족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